Tistory 블로그에 글 작성시 수식을 넣는 방법
Tistory 블로그에 수식을 넣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나는 이미지로 수식을 넣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LaTeX 수식 코드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두 가지 방법을 차례대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 이미지로 수식 넣기
수식을 작성한 후 이미지를 찍어서 Tistory에 올리는 방법입니다. 수식 이미지의 경우, 어떤 수식을 표현하든 모든 브라우저에서 동일하게 보이기 때문에 호환성 면에서 안전한 방법입니다.
- 수식 작성 도구 이용:
- MathType이나 CodeCogs와 같은 온라인 수식 생성 도구를 이용하여 수식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 CodeCogs에서는 LaTeX 형식으로 수식을 작성한 후, 이미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 MathType은 수식을 입력 후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여 Tistory에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 수식 이미지 업로드:
- Tistory 블로그에 수식 이미지를 업로드하려면 글 작성 화면에서
사진 첨부
기능을 이용해 이미지를 올리고, 적절한 위치에 삽입합니다.
- Tistory 블로그에 수식 이미지를 업로드하려면 글 작성 화면에서
2. LaTeX 수식 코드 사용하기
Tistory에서는 MathJax를 사용하여 LaTeX 수식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텍스트 형식으로 수식을 삽입하고, 블로그에서 바로 렌더링할 수 있습니다. Tistory에서 LaTeX 수식을 직접 사용하려면 스크립트 코드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Tistory에서는 기본적으로 MathJax가 활성화되어 있어서 LaTeX 형식으로 작성된 수식을 자동으로 렌더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MathJax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나 사용자 정의 설정을 통해 수식을 표현하고 싶다면, 스크립트 코드를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수식을 표시하기 위한 MathJax 스크립트 코드 추가 방법
Tistory에서 MathJax 스크립트를 직접 추가하여 LaTeX 수식을 표시하려면,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HTML 헤드 부분에 스크립트를 삽입할 수 있습니다.
1. MathJax 스크립트 코드 추가 (선택 사항)
- Tistory 관리자 페이지에서 "관리" → "스킨 편집"으로 이동합니다.
- HTML 편집기에서
<head>
태그 안에 다음 스크립트 코드를 추가합니다:
<script type="text/javascript" async
src="https://cdnjs.cloudflare.com/ajax/libs/mathjax/2.7.7/MathJax.js?config=TeX-MML-AM_CHTML">
</script>
이 코드는 MathJax 라이브러리를 로드하는 코드로, 수식을 올바르게 렌더링하도록 합니다.
- MathJax 활성화하기:
Tistory에서는 기본적으로 MathJax가 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에, 수식 코드를 직접 작성하면 자동으로 수식이 렌더링됩니다. LaTeX 수식을 삽입하려면,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작성하면 됩니다. - 수식 삽입 방법:
- 수식 삽입 (Inline):
$$
기호를 사용하여 텍스트 안에 수식을 삽입할 수 있습니다.
예)$$E = mc^2$$
는 아래처럼 표시됩니다:
$$[
E = mc^2
]$$ - 수식 삽입 (Block):
\(
와\)
를 사용하면 블록 수식 형태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 E = mc^2 \)
는 아래처럼 표시됩니다:
$$[
E = mc^2
]$$
- 수식 삽입 (Inline):
- 수식 작성 예시:
- 분수:
\frac{a}{b}
→$$(\frac{a}{b})$$ - 지수:
x^2
→ $$(x^2)$$ - 수학 기호:
\sum
,\int
등을 사용하여 여러 수학 기호도 표현할 수 있습니다.
- 분수:
예시
$$
\\int\_0^\\infty e^{-x^2} dx = \\frac{\\sqrt{\\pi}}{2}
$$
이 코드는 가우시안 적분을 표현하며, Tistory에서 올바르게 렌더링됩니다.
마치며
Tistory에 수식을 넣는 방법은 이미지로 넣거나, LaTeX 수식 코드를 사용하여 넣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이미지 방법은 호환성에서 안정적이며, LaTeX 방식은 텍스트 형식으로 수식을 삽입할 수 있어 더 깔끔하고 실용적입니다.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수식을 게시물에 추가하시면 좋습니다.
'정보통신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무선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대해 알아보자 (2) | 2024.12.19 |
---|---|
Starlink 현황 아프리카 오지에서도 인터넷 사용 (1) | 2024.12.18 |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한글의 가치와 의미 (1) | 2024.12.18 |
디지털 방송에서 다중화 기술은 무엇인가? (2) | 2024.12.17 |
인터넷이 안될 때 알아두면 유용한 ping과 trace 명령 (0) | 2024.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