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통신기술

ATSC 3.0에서 사용하는 코덱은? HEVC vs SHVC 완전 정리!

by 주니미 2025. 4. 14.
반응형

ATSC 3.0은 차세대 지상파 방송 기술로, UHD 방송, 인터넷 기반의 인터랙티브 서비스, 개인화된 광고, 모바일 수신까지 가능하게 해주는 최신 방송 규격입니다.
그렇다면 이 혁신적인 기술의 핵심, 비디오 압축 코덱은 무엇일까요?

✅ 결론부터 말하면: HEVC(H.265)를 사용합니다!

ATSC 3.0에서 공식적으로 채택한 비디오 코덱은 바로 HEVC (High Efficiency Video Coding)입니다.
이는 MPEG-H Part 2로도 알려져 있으며, H.264/AVC 대비 약 50% 더 효율적인 압축 성능을 제공합니다.


🔍 그럼 SHVC는 무엇이고 왜 안 쓸까?

SHVC(Scalable HEVC)는 HEVC의 확장 버전으로,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 안에 해상도·화질별 여러 계층을 넣을 수 있는 스케일러블(계층화) 압축 기술입니다.
이론상으론 유용하지만, 실제 ATSC 3.0에는 채택되지 않았습니다.

SHVC가 ATSC 3.0에 포함되지 않은 이유

  • 복잡한 인코딩 및 디코딩 구조: 수신기에서 구현 난이도가 높음
  • 송출 인프라 부담: 여러 계층을 한 스트림에 담으면 전송비용 증가
  • 표준화 범위: ATSC 3.0은 기본 HEVC 프로파일까지만 포함

🧠 HEVC가 ATSC 3.0에서 중요한 이유

항목 설명
🔸 해상도 최대 4K UHD (3840×2160)
🔸 프레임률 최대 120fps
🔸 HDR 지원 HDR10, HLG 등 다양한 HDR 포맷 지원
🔸 색영역 BT.2020 (이전 BT.709보다 훨씬 넓은 색 공간)
🔸 오디오 MPEG-H 3D Audio, AC-4 등 객체 기반 오디오 지원

➕ 추가 정보: ATSC 3.0의 주요 기능

  • IP 기반 방송: 브로드캐스트 + 유니캐스트 통합
  • 모바일 친화적 전송: 차량 내 TV나 스마트폰 수신 가능
  • 인터랙티브 서비스: 시청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 기술 매니아를 위한 프로파일 정보

ATSC 3.0은 Main 10 프로파일 Level 5.1을 사용합니다.
이는 10비트 색 깊이, 4K UHD, HDR 처리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SHVC는 ATSC 기술 위원회 내 논의는 있었으나, 최종 채택되지 않았습니다.


📌 SHVC가 향후 쓰일 가능성은?

현재 ATSC 3.0에서는 단일 HEVC 스트림을 전송하지만, 향후 클라우드 기반 개인 맞춤 방송이나 네트워크 적응형 다계층 전송이 활성화되면 SHVC나 VVC 기반의 계층 코덱도 검토될 수 있습니다.


🟢 요약

구분 ATSC 3.0에서 사용 여부
✅ HEVC (H.265) 사용됨
❌ SHVC 사용되지 않음


🧩 연관 포스팅 아이디어

  • 📡 ATSC 3.0과 기존 ATSC 1.0 비교
  • 🖥 HEVC vs AV1, 차세대 압축 코덱 경쟁
  • 📲 모바일에서 ATSC 3.0 수신 가능할까?
  • 🎥 VVC(H.266)는 언제 보급될까?

📝 마치며

ATSC 3.0은 방송과 인터넷을 통합한 미래형 지상파 기술이며, 그 핵심에는 HEVC라는 고효율 코덱이 있습니다.
SHVC처럼 스케일러블한 기술도 매력적이지만, 아직까지는 복잡성과 효율의 문제로 ATSC 3.0의 공식 스펙에서는 제외되었다는 점 기억해두세요.

궁극적으로 방송 기술의 발전은 시청자의 경험 향상을 목표로 하며, HEVC는 지금 그 중심에 있습니다.


반응형